일상
- 9월 29일 화 2020.09.29
- 9월 28일 월 [w41] 2020.09.28
- 9월 26일 토 2020.09.26
- 9월 24일 목 2020.09.24
- 9월 23일 수 2020.09.23
- 9월 22일 화 2020.09.22
- 9월 21일 월 [w40] 2020.09.21
- 9월 17일 목 2020.09.17
- 9월 16일 수 2020.09.16
- 9월 15일 화 [w39] 2020.09.15
9월 29일 화
9월 28일 월 [w41]
1. 하지영 선생의 박사논문 및 여타 논문에 내가 원하는 정보가 있었다. 특히 단행본으로 출간된 <18세기 진한고문론의 전개와 실현 양상> 299쪽. 소품은 진한 고문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논해져 왔지만 꼭 그렇게 볼 일이 아니라는 언급.
2. 엑셀에 정리 시작. 태그를 무엇으로 넣을 것인가. 왕세정?
3. 어제에 이은 논문 리딩
신주리, 2012, 16-17세기 강남의 주변부 문인 연구 : 陳繼儒와 李漁의 상업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서울대 중문과 박사학위논문. (석사를 1994년에 오자서변문으로 썼던데 거의 18년만의 논문인 것인가.)
9월 26일 토
1. 논문
-원서강독: 매일 영인본 기준으로 6쪽 분량을 읽어야 60일 내에 1회 통독이 가능.
하지만 중요 작품 정독이 일순위.
-왕세정 관련 연구 리스트업 했음. (60분)
*앞으로 할일
-리스트업:
-허균 관련 연구 논저
-이백, 왕세정, 위진 문학 관련 논저.
-허균의 독서목록 리스트
-성소부부고 작품목록 리스트
9월 24일 목
1. 논문
-병한잡술 7-8
-국조 정용
-진원지 관련 논문 나머지 절반
-qingtan 1991 계속
-안나미 선생 논문 계속
-왕세정 글 중에서 도가자류와 청담, 척독 관련 류를 우선적으로 봐야 함.
2. 여가
Bloom Western canon 아침에 봄.
vsi autobio. public selves 다음 챕터
포르투나의 선택 50쪽. 간밤에 봤음(마리우스 2세가 몰락을 향해 가는 중)
----------------------------------------------------------------------------------
밤
안나미 선생의 허균 파트를 다시 반복해서 읽어보았다. 장점도 단점도 많은 논문이다.
김성진 선생의 허균 관련 논문(2003년 척독)에 알찬 내용이 많다.
<이문광독(夷門廣牘)>(周履靖, 1549~1640 편찬)이라는 책이 만명소품이니 필기니 하는 식으로 어물쩡 넘어가지는 경우가 많은데, 굉장히 흥미로운 책이다. 31책의 경우, 헌원에서 시작해 섭정 등 옛 설화속 신선에 대한 얘기가 인명별로 나옴. (국중본 만력 간본 31권에는 유향의 열선전이 수록) 목차 중 이역지란 것이 있음. 얼핏 봐도 분량이 상당한데 전모가 눈에 들어오지는 않는다. pdf와 text 파일이 모두 웹상에 존재함. 국중이나 일본 국회도서관 소장본은 상하 2책. 국내 소장처는 매우 많음(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규장각엔 없음(그말인즉 해제도 없다는 말) 한중연 소장 서적은 王雲五 주편. 48책본으로 1969년 대만 상무인서관 영인본. 서울대도 같은 버전 소장. (단행본 자료실 내 소장. 대출 가능)
국중본에는 1) 劉鳳 서문이 제일 앞에 붙어 있음. 가정8년(1529년) 진사. 2) 黃*憲 서문 3) 장헌익 4) 운간 何三畏士 (만력 무술년 7월 1일 (삭일) 秀州行舫中에서 씀.
국중본 84권이 열선전 1권, 85권이 신선전 1권, 86권이 속신선전, 91권 群仙降札乩語 (*乩仙: 점을 쳐서 점사(占辭)를 적을 때에 붓 끝에 내린다는 귀신)
*관련 연구
葉俊慶, 2007, 周履靖及其《夷門廣牘》研究, 國立中正大學 석사논문.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28일 월 [w41] (0) | 2020.09.28 |
---|---|
9월 26일 토 (0) | 2020.09.26 |
9월 23일 수 (0) | 2020.09.23 |
9월 22일 화 (0) | 2020.09.22 |
9월 21일 월 [w40] (0) | 2020.09.21 |
9월 23일 수
1. 논문
-성소부부고 원문 빠르게 재독: 1) 병한잡술 클로즈 리딩 2) 제발문 통독
-진원지의 서유기 서문 후반부. 어제 하다가 입력된 글자에 문제가 있고 까다로워서 판본 대조중.
어제 이걸 하다가 서유기 국내 판본에 대한 연구를 좀 훑어보았다.
<어제 다 못한 것. 중점 과제>
-세설체 정행아 매일 4쪽. (이걸 못했는데 빠르게 해야 함)
-안나미, 박사논문 나머지 부분 빠르게 통독
-qingtan (Tang 1991 계속)
-한문: 국조시산, 이재 9월
2. 여가
-Harold Bloom, The Western Canon
-[vsi] autobiography chapter 6 public selves. 간밤에 읽음.
-포르투나의 선택 100쪽 가까이 읽었음. 간밤.
9월 22일 화
1. 논문
-성소부부고 원문 빠르게 재독: 1) 병한잡술 클로즈 리딩 2) 제발문 통독
-진원지의 서유기 서문 후반부.
-세설체 정행아 매일 4쪽.
-안나미, 박사논문 나머지 부분 빠르게 통독
-qingtan (Tang 1991 계속)
-한문: 국조시산 정용 야작.
2. 여가
-Harold Bloom, The Western Canon 아침에 읽었음.
-[vsi] autobiography chapter 5. Family history and childhood 아침에 읽었음.
9월 21일 월 [w40]
1. 논문
-성소부부고 원문 빠르게 재독: 1) 병한잡술 클로즈 리딩 2) 제발문 통독
-김은정, 오자시 화답시 연구.
-qingtan (Tang 1991 계속)
-세설체 정행아 매일 4쪽.
-한문: 국조시산 정용 노궁. (그 외에 옮기는 것도 해야 함)
2. 여가
-Harold Bloom, The Western Canon 아침에 읽었음.
-[vsi] autobiography
-------------------------------------------------------
오후 공부를 통해 알게 된 것.
-배원정(2011), 문학을 주제로 한 문징명의 회화: 소주 지역 문인들의 결속, 공통의 정체성이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음.
-서유록 발 내용에서 명간본 초판본 서유기에 서문을 쓴 진원지의 글이 꽤 중요한 레퍼런스인 듯함. 진원지의 서문은 절반 가량 읽었는데 내일 마저 읽어야 함.
-위진 청담에서 현학, 명가, 불경이 중요한 주제라는 것까지 알 수 있었음. Tang의 논문은 영어권에서 나온 것 치고는 상당히 고증과 사실 전달에 치우친 감이 강함.
-김은정 선생의 논문에서는 오자시를 상당히 정치적 성격이 강한 것으로 봄. 특히 명대 '형부'를 중심으로 시사가 결속된 점에 주목한 점이 기억에 남음. 후칠자의 이합집산에 관해 알찬 정보가 있음. 원종례(1987)의 논문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추후 따져봐야 함.
-정행아의 하씨어림 관련 논문에서는 하씨어림이 '역사' 방면으로 경도되었다는 주장을 담고 있는 것 같은데, 정당한 평가인지 모르겠음. 하씨어림은 심학적 성향이 있다고 하는 주장이 다음 글에 나온다고 하는데, 근거가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음. 陳洪(천훙), 黃菊仲(황쥐중) 注, 1999, 續世說新語(天津:天津人民出版社) 前言 2쪽에 그런 말이 나온다고 함. 문제는 아무리 찾아봐도 천훙과 황쥐중이 1999년에 냈다는 속세설신어란 책이 나오지 않음.
9월 17일 목
1. 논문
1) 청담 관련:
(1) Tang (1991) 계속
(2) 정행아 연구 리딩 시작하기
2) 허균 관련 한국 연구: 안나미 선생의 논문 중 중요 부분을 이번주에 정리해야 한다. (완벽히 이 논문을 다 보려 들지말고 현재 연구와 유관한 부분 위주로 정리)
3) daily 원문 강독
2. 여가
1) 풀잎관은 그래도 계속해서 50쪽씩 읽겠다.
2) 스님의 논문법 오늘 여가시간에 끝내기
3) 점심 후 산책과 저녁 후 산책 짧게 2번.
4) autobiography 15분 리딩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22일 화 (0) | 2020.09.22 |
---|---|
9월 21일 월 [w40] (0) | 2020.09.21 |
9월 16일 수 (0) | 2020.09.16 |
9월 15일 화 [w39] (0) | 2020.09.15 |
9월 14일 월 [w39] (0) | 2020.09.14 |
9월 16일 수
1. 논문
-안나미씨 박사논문을 마무리 하려 했는데 손도 못 댔음.
-국조시산과 병한잡술 시 한편씩 봄.
-세설신어보 어제 보던 것을 초벌 마무리.
-청담 관련 2.1.대목 훑어 봄.
-정행아의 논문을 보려다가 시작도 못함.
2. 여가
-해롤드 블룸 읽는 데 시간을 많이 썼다. (오전 한 시간은 그냥 한 시간이 아니니까.)
내일은 논문에 더 시간을 많이 써야겠어.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21일 월 [w40] (0) | 2020.09.21 |
---|---|
9월 17일 목 (0) | 2020.09.17 |
9월 15일 화 [w39] (0) | 2020.09.15 |
9월 14일 월 [w39] (0) | 2020.09.14 |
9월 10일 목 - 9월 13일 일 (0) | 2020.09.13 |
9월 15일 화 [w39]
1. 논문
1) secondary (청담과 세설체, 신선담의 문제 계속 생각)
-Tang, qingtan 이어 읽기
-허균의 행적: 안나미(2011) 이어 읽기
-재독: 세설체: 김장환(2001) 세설신어보, 원종례(2005) 속아지취, 백승호(2019) 청담
-지난 금요일에 복사 떠온 신선전 등 리뷰.
2) primary
-국조시산과 성소부부고 독후시, 제발문 재독, 서유록발 다시 읽기.
-병한잡술 빠르게 훑기
2. 스터디
-이재 복습하고 옮기기
3. 여가
-마이클 이그나티에프: 평범한 미덕의 공동체. (어제는 보스니아, 미얀마, 후쿠시마 읽었음. 오늘은 남아프리카 및 결론)
-풀잎관3: 어제는 8장 읽었음 오늘은 9장 들어갔음.
-autobiography: 4장 psychoanalysis 대목 다 읽음. (예고: family history, childhood가 5장)
-스님의 논문법
-일기는 9시대에 쓰고 11시엔 컴퓨터 끄자.
-아침 청소 시간에 영어 회화 복기, 세면 시간에 전날 리딩복기 계속.
*기타
-ppt로 지난 38주차에 본 한시를 정리해 볼까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17일 목 (0) | 2020.09.17 |
---|---|
9월 16일 수 (0) | 2020.09.16 |
9월 14일 월 [w39] (0) | 2020.09.14 |
9월 10일 목 - 9월 13일 일 (0) | 2020.09.13 |
9월 9일 수 (0) | 2020.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