晉人樂放曠喜淸言其弊也及於國家五胡亂華衣冠奔播陶弘景詩所謂夷甫任散誕平叔坐論空豈悟昭陽殿遂作單于宮者是也然其談論風標書之文字則無不澹雅可喜此劉義慶世說所以爲楮人墨客所劇嗜者也因此想當時親見其人聽其言語者安得不傾倒也明人刪其蕪補其奇作爲一書誠藝林珍賞也朱天使之蕃携來贈柳西坰遂爲我東詞人所欣覩焉

 

()나라 사람들은 호방하고 광달(曠達)함을 즐기고 청담(淸談)을 좋아하여 그 폐단이 국가(國家)에까지 미쳤다. 오호(五胡)가 중화(中華)를 어지럽혀 벼슬아치들이 도망가 흩어지니, 도홍경(陶弘景)의 시에 이른바 이보(夷甫)는 허황하기만 하고 평숙(平叔)은 앉아서 공리를 논하니, 소양전(昭陽殿)이 마침내 선우(單于)의 궁궐이 될 줄을 어찌 알았으랴.夷甫任散誕, 平叔坐論空, 豈悟昭陽殿, 遂作單于宮?라는 것이 이것이다.

그러나 이들의 담론과 풍격(風格)을 문자로 쓰면 담아(澹雅)하여 기뻐하지 않을 수 없으니, 이는 유의경(劉義慶)세설신어(世說新語)를 시인과 묵객(墨客)들이 매우 좋아하게 된 이유이다. 이것을 가지고 당시를 생각해 보면, 저들을 직접 보고 저들의 말을 듣는 자들이 어찌 경도(傾倒)되지 않을 수 있었겠는가. (당시에 그 인물들을 친히 만나보고 그의 말을 직접 듣는 것 같으니 어찌 매료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명나라 사람이 그 번잡한 것을 산삭하고 기이한 것을 보충하여 한 책을 만들었으니, 진실로 예림(藝林)의 진귀한 볼거리이다. 명나라 사신인 주지번(朱之蕃)이 가지고 와서 유서경(柳西坰)에게 주어 마침내 우리나라 문장가들이 기뻐하면서 보게 되었다.

 

*청담: 세속의 명리(名利)를 떠난, 맑고 깨끗한 담화(談話)라는 의미로 청언(淸言)ㆍ현언(玄言)이라고도 하며, ()ㆍ진() 시대에 크게 성행하였다. 노장사상을 기초로 세속적 가치를 초월한 형이상학적인 사유와 정신적 자유를 중시했던 시대의 산물로 무()와 유(), 명교(名教)와 자연 등 형이상학적인 주제들에 관한 고차원의 철학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오호: 남북조 시대 북쪽에서 왕조를 세운 다섯 오랑캐인 흉노(匈奴)ㆍ갈()ㆍ선비(鮮卑)ㆍ저()ㆍ강()족을 이른다.

*이보는 ~ 알았으랴: 이보는 남북조 시대 진()나라 혜제(惠帝) 때의 승상인 왕연(王衍, 256~311)의 자이다. 청담만을 일삼다가 뒤에 흉노족에게 나라를 망쳤으며, 후조(後趙)의 고조(高祖)인 석륵(石勒)에게 살해당하였다. 평숙(平叔)은 삼국 시대 위()나라의 문신이자 학자인 하안(何晏, 193~249)의 자이다. 왕필(王弼)과 함께 위ㆍ진 시대의 현학(玄學)의 비조로 받들어지며, 그가 왕필과 주고받은 청담은 일세를 풍미하였다. 소양전(昭陽殿)은 한나라 궁궐의 이름이며 선우(單于)는 흉노의 임금이다.

*유의경의 세설신어: 유의경(403~444)은 남조 송나라의 문신이자 학자로 무제(武帝) 유유(劉裕)의 조카이고 시호는 강왕(康王)이다. 성품이 소박하고 문학을 좋아하여, 문인들이 주위에 많이 모였는데 이들과 함께 여러 책을 편찬하고 저술하였다. 세설신어는 후한(後漢) 말기부터 동진(東晉)에 이르기까지의 정치가와 문인 등 6백 명에 이르는 인물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일화집으로, 당대 귀족계급의 사상과 풍조를 후세에 상세히 전하고 있어 중국문학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이다.

*주지번: 명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으로 자는 원개(元介), 호는 난우(蘭嵎)이다. 신종 만력(萬曆) 23(1595)에 진사시에 장원 급제하고 벼슬이 이부 시랑(吏部侍郞)에 이르렀다. 1606(선조39)에 양유년(梁有年)과 함께 황제의 원손(元孫) 탄생을 알리는 조서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왔다. 돌아갈 때 허난설헌(許蘭雪軒)난설헌집을 가지고 가서 명나라에서 간행하였다.

*유서경: 유근(柳根, 1549~1627)으로 서경은 그의 호이고 자는 회부(晦夫), 본관은 진주(晉州),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1572(선조5)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벼슬이 대제학을 거쳐 좌찬성에 이르렀다. 시문에 뛰어나 주지번이 사신으로 왔을 적에 원접사(遠接使)가 되어 이들을 맞이하였다.

 

 

*홍재전서162, 일득록 2

상이 이르기를, “소설가(小說家)는 매우 번잡하고 외람되니, 명목은 다르더라도 그 뜻은 한가지이다. 그러나 유의경(劉義慶)세설신어(世說新語)만은 볼만한바, 강좌(江左) 자제들의 눈매, 턱 모양, 귀밑머리와 수염, 주택, 수레, 의복, 술잔 등이 눈으로 보듯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그리고 홍경로(洪景盧 경로는 홍매(洪邁)의 자())이견지(夷堅志)도 수준이 낮지 않다.” 하였다.

小說家甚繁氄猥濫名目雖殊其指則一也唯劉義慶世說最可觀江左子弟眉目頰牙鬢鬚宮室輿服醆斝歷歷如親覩焉洪景盧夷堅志也亦不淺

 

+ Recent posts